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삼성라이온스
- 모스코인
- 이더리움
- 비트코인
- 박성현프로
- 가상화폐
- 박성현
- 블록뱅크
- 공유경제
- 우버
- 미중무역전쟁
- 4차산업혁명
- 링커코인크로스에어드랍
- 트럼프
- 모스랜드
- 손흥민
- 골프드라이버스윙
- 블록체인
- 골프스윙
- 링커코인
- 코엑스별마당도서관
- 링커코인상장
- 문재인대통령
- 비트나루
- 전인지
- 타이거우즈
- 애플
- 최혜진프로
- 가상화폐시장
- 이정은6
- Today
- Total
목록베트남 (3)
약속은 지킨다!
전세계는 4차산업혁명이 화두이며 공유경제 등이 신경제로 자리 잡고 있다. 필자는 올초 베트남 호치민 출장과 여행을 두 번 갔다왔고 인도네시아 출장도 다녀왔다. 가장 여행객들에 큰 변화는 그랩(Grap)이나 우버 택시의 등장이었다. 특히 베트남 호치민 가족 여행에서는 그냥 편하고 저렴하고 안전했다. 오토바이가 점령한 거리와 도로에서 제때에 원하는 곳으로 이동하는 것은 만만치 않다. 그러나 우버 택시를 이용하니 모든 것이 투명해졌고 예측 가능해졌다. 대한민국은 어떤가. 차량 공유 서비스는 발을 디딜 작은 틈도 없다. 택시 업계의 반발은 업계나 소비자나 실익이 있는가. 국내에서 택시를 이용해보면 잘 안다. 그 불편함을. 밤11시가 넘어가면 택시가 갑으로 변신한다. 나라 경제는 이제 2%대 저성장 기조로 아예 ..
투자하면 중국이었다. 그러나 사드 사태와 중국 제조업의 부상으로 한국의 중국 투자는 증가세가 멈췄고 대신 베트남 투자가 급증했다. 어떻게 보면 사드 사태가 없었다고 해도 당연한 결과다. 필자도 올초 두 번 베트남 출장을 갔다 왔는데 3~4년 전과 확연히 달라진 모습을 확인했다. 발전의 속도가 과거 한국의 80~90년대와 흡사했다. 베트남은 향후 20~30년 동안 각 분야 최고의 투자처가 될 것이 확실하다.
미국의 정치학자이자 역사철학자인 프란시스 후쿠야마의 유명한 저서 "Trust(1995년 발간)"에서 자유시장경제가 확대되기 위해서는 윤리, 도덕 등 일종의 무형의 사회간접자본이 튼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990년대 중반 주요 국가를 "Trust Criteria"로 나눴는데 한국은 저신용 국가로 분류되기도 했다. "Trust"발간 이후 22년이 지난 지금 세상은 많이 달라졌다. 국제 투명성기구(Transparency International)에 따르면 아직도 북미, 유럽 선진국이 청렴한 국가로 분류되고 있다. 아래 사진을 보면 짙은 붉은색일 수록 부패지수가 높은 국가인데 러시아, 아프리카 대륙 국가, 중국 및 중미 국가들이 해당되고 노란색에 가까운 국가들이 상대적으로 청렴한 국가에 해당한다.(한국은 중국..